수면내시경 이후 운전이 가능할까? 전문가의 의견
작성자 정보
- 운영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77 조회
- 목록
본문
얼마 전에 건강검진을 받으면서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수면내시경을 받은 경우 운전이 가능한지 궁금해 하시는거 같아서 직접 의사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면 내시경 검사 받고나서 운전이 가능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내시경이란
수면내시경은 내시경을 이용해서 위와 대장 내부를 검사하는 하나의 진료방법입니다.
수면내시경 검사는 수면마취(뉴스에 많이 나오 그 하얀액체)를 통해 환자가 수면 상태에 들어가도록 한 후, 이 때 내시경을 이용하여 튜브를 통해 위나 대장에 들어가 조직을 채취하거나 진단을 하게 됩니다.
수면 내시경 검사는 위 대장질환의 검진과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수면내시경 검사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수면 내시경 검사 이후에는 간혹 어지러움증이나 구토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감기가 걸렸을 때와 비슷한 증상으로 목 안 쪽의 통증이나 이물감, 건조함, 기침 등이 있습니다.
수면 내시경 검사가 끝난 후에는 회복실에서 일정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게 됩니다. 이때 환자는 자극적인 음식이나 음주는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내시경 검사 후 운전?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은 이후에는 혹시라도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해도 되는지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수면 내시경 검사는 일반적으로 30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며, 그 사이에 환자는 진정제 투여로 인해 가수면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수면내시경 검사 후에는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귀가하고, 자가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마취상태에서는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어지러움이나 졸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면 내시경 검사 후에는 몽롱한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일에는 가급적 운전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내시경 이후 업무
수면내시경을 받고나서는 사람에 따라 마취가 늦게 깰수도 있어서 수면내시경 받은 이후에는 업무를 보는것보다는 편안하게 쉬는것이 좋고 마취가 완전히 깨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칼이나 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나 기계를 다루는 일은 피해야 합니다.

실제 사례
수면내시경 검사 후에는 마취제 성분 때문에 정신이 몽롱하고 판단력이 흐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 실제로 수면내시경을 받고 나서 직후 운전을 하다가 병원내에서 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직업이 필수적으로 운전을 해야 하는 사람들은 쉬는날 수면내시경을 받도록 하고 되도록 최대한 늦은 시간에 받는것이 좋습니다. 이른시간에 수면내시경을 받는 사람의 경우 하루 종일 무기력감에 빠질수도 있으니 오후 늦은 시간에 수면내시경을 받고 일찍 잠자리에 드는것이 좋습니다.
수면 내시경은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검사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수면내시경 검사 이후에는 반드시 회복실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충분히 쉬어야하며, 당일에는 가급적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어지럼증이나 구토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백과 검색 네이버사전 검색 위키백과 검색
수면내시경 관련 동영상










수면내시경 관련 상품검색
관련자료
-
이전
-
다음